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최정숙 저
- 영어 팝송 공부
- 제9702호
- apparently
- expressions for advice
- negligible
- course of action
- get the hang of it
- procrastinate
- 수입신고 영어
- comprehensive
- 품목별 원산지 기준
- nail down
- 미국식 영작문 수업
- put together
- how do you like
- 통관 영어
- put forward
- Anxiety is the Dizziness of Freedom
- The 48 Laws of Power
- narrow down
- 수입요건
- put behind
- account for
- FTA 원산지 결정기준
- wing it
- Robert Greene
- 팝송 영어 공부
- put a lot of work into
- willing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205)
International Trade & Customs + etc.

https://tongsangnews.kr/webzine/1542311/sub2_4.html 월간 통상 산업통상자원부에서 발행하는 웹진 '통하는 세상 통상'입니다. tongsangnews.kr 세계 최대 규모의 메가 FTA인 RCEP의 가장 큰 특징은 회원국 간 통일된 원산지결정기준(PSR)이 적용돼 원산지 누적기준이 허용된다는 점이다. RCEP 회원국으로부터 수입된 원산지 상품 또는 재료의 누적을 위한 원산지증명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은 아세안 10개국(베트남·태국·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싱가포르·캄보디아·필리핀·라오스·미얀마·브루나이)과 동북아시아 3개국(한국·중국·일본), 오세아니아 2개국(호주·뉴질랜드) 총 15개국이 관세장벽 철폐를 목적으로 하는 협정이다. 전 ..

I. 원산지증명서, HS 코드가 다를 때 수출물품에 대해 수출국과 수입국 세번이 서로 다를 경우, 모든 사례마다 WCO HS위원회에 제소해 결정되기는 쉽지 않다. 그럼 이런 경우 FTA 원산지증명서에 어느 나라 HS를 기재해 발급해야 할까? 우리 수출물품에 대해 관세를 부담하는 국가는 수출국이 아니라 수입국이므로 수입국의 관세정책이 중요하다. 즉 협정상대국의 HS코드로 원산지증명서를 발급받는 게 필요하겠다. 관세청은 우리나라와 협정상대국의 HS가 다를 경우에 대한 처리절차를 다음과 같이 마련했다. ‘협정상대국의 HS코드를 확인할 수 있는 공식서류’를 원산지증명서 발급기관(세관 또는 상공회의소)에 제출할 경우, 협정상대국의 HS코드를 기재해 원산지증명서 발급이 가능하다. [협정상대국의 HS 코드를 확인할 ..
주제1) 온라인 미팅은 멀리 떨어진 사람들이랑 소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오프라인 미팅에 비해 효율성이 떨어져. 미팅 중에 방해 요소가 너무 많거든. #1. Online meetings offer the significant advantage of facilitating easy communication with individuals located far away. However, when compared to offline meetings, they tend to be less efficient due to the myriad of distractions that can arise in an online setting. #2. Online meetings are very useful be..